기관소개
서울잇다푸드뱅크센터
인사말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도
BI
주변 푸드뱅크 · 마켓 찾기
푸드뱅크 · 푸드마켓이란?
찾아오시는 길
사업안내
주요사업
참여하기
기부방법
기부기업
캠페인 후원
봉사신청
교육신청
홍보자료
홍보자료
푸딩 월간 소식지
카드뉴스
보도자료
갤러리
동영상자료
열린마당
공지사항
Q/A
민원실
자료실
로그인
회원가입
로그인
회원가입
기관소개
사업안내
참여하기
열린마당
홍보자료
서울광역푸드뱅크센터
인사말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도
BI
찾아오시는 길
주변 푸드뱅크 · 마켓 찾기
푸드뱅크 · 푸드마켓이란?
주요사업
기부 방법
캠페인 후원
시민 제안 레시피
봉사신청
교육신청
기부기업
공지사항
민원실
자료실
Q/A
홍보자료
카드뉴스
보도자료
갤러리
동영상자료
푸드뱅크
찾기
기부하기
봉사신청
열린마당
열린마당
기관소개
사업안내
참여하기
홍보자료
열린마당
공지사항
공지사항
민원실
Q/A
자료실
공지사항
<연합시론>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의 경제학
담당자 | 서울푸드뱅크
작성일 | 2002.02.23
(서울=연합뉴스) 음식물쓰레기 20% 줄이기
를 올해 목표로 세운 환경부가 식량자원 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시민들이 지켜야할 생활
실천 수칙 8가지를 제정,선포했다. 수칙을 보면
`식단계획을 세워 필요한 식품만 구입한다´, `냉
장고에 뭐가 들어있는지 온가족이 알아야 한
다´, `냉장고에 넣을 때는 구입날짜 순서대로,
속이보이는 그릇을 사용한다´, `생식품은 바로
손질해서 조리하고 보관한다´ 등으로 누구나 익
히 아는 내용이다. 문제는 이런 내용을 모두 잘
알고는 있으나 지키지는 않으며 그로인해 엄청
난 음식물쓰레기가 버려져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데 있다.
우리나라는 식량 자급률이 30%대에 불과해
필요한 식량의 70%를 외국에서 수입하면서도 하
루에 1만3천239t, 연간 625만t의 음식물을 쓰레
기로 버린다고 한다. 음식물쓰레기를 경제적 가
치로 환산하면 우리나라 1년 예산의 10%가 훨씬
넘는 15조원에 달한다니 쌀 한톨도 소중하게 여
겼던 우리가 언제부터 이렇게 식량을 낭비하게
되었는지 모를 일이다. 한 가구에서 연간 평균
113만원어치의 음식물을 먹지않고 쓰레기통에
버리고 있으나 아직도 결식아동이 전국적으로 16
만명에 이르고 북한에서는 식량난으로 동포들이
굶주리고 있다지 않는가..
식량 낭비 뿐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면에서도 음식물 쓰레기는 심각하게 받아들여
야 할 문제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음식물 쓰레기
를 대부분 매립하거나 소각하고 일부만 사료나
퇴비.메탄가스연료 등으로 재활용하는데 매립하
는 경우 수질을오염시키고 소각하면 다이옥신
이 배출되니 처리한다 해도 결국은 환경을 오염
시키게 마련이다.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은 한
계가 있고 경제성도 별로 없다니 결국 발생량을
줄이는 길 밖에 없다.
환경오염의 주범인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식생활 문화의 개선이 급선무다. 정부
가 마련한 생활실천 수칙은 식생활 문화의 개선
의지를 담고 있지만 이 수칙이 구두선에 그치
지 않으려면 이행전략을 짜는 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부는 단순 홍보캠페인에서 그치지 말
고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에 대해 인센티
브제를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범국민운동을 펼쳐
야 할 것이다. 국민 각자도 이제 음식물 쓰레기
가 자원 낭비일 뿐 아니라 수질.토양을 오염시키
는 환경오염원이라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고 이
를 줄이는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음식물 쓰레기
를 줄이면 자원이 절약되고 처리비용도 들지
않으니 이중으로 돈을 버는 것 아닌가.
(끝)
첨부파일
비밀번호
확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