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기사>복지부&건강·영양조사&졸속시행 물의

작성자 | 서울푸드뱅크 작성일 | 2005.06.03

정부가 전국에 걸쳐 향후 국민 건강증진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될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실시하면서 대상 가구에 조사안내 등을 제대로 하지 않아 조사 부실이 우려된다. 게다가 영문도 모른 채 조사대상 가구로 선정된 일부 주민이 당국에 항의전화를 하거나 불만을 터뜨려 담당자들이 해명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2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과 함께 지난 4월부터 6월30일까지 전국 1만2000가구, 4만명을 표본추출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실시 중이다. 표본은 대도시와 중소도시 농어촌지역 등을 대표할 수 있는 가구로, 주택 종류 등 다양한 여건을 감안해 당국에서 선정했다.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1998년 이후 세번째인 이번 조사는 건강면접조사와 영양조사, 검진조사 등으로 나눠 실시되고 있으며, 조사는 영양과 건강면접조사원 각각 160명이 맡고 있다.

건강면접 조사의 경우 조사원이 각 대상 가구를 방문, 가족들의 건강상태와 흡연 음주 등 건강생활 습관을 면접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영양조사는 4000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원의 식품섭취량과 섭취빈도, 식생활 등을 파악하고 있다. 검진조사는 고혈압과 당뇨, 간염 등 주요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검진 결과는 4주 내에 대상자에게 통보되고 있다.

그러나 복지부 등이 각 시·도 등을 통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실시에 따른 안내문을 각 대상 가구에 발송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안내문이 제대로 배달되지 않아 조사원 등과 주민들 간의 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장의 안내문만 받은 가구 또한 개인의 신상정보 등을 포함해 500여개 항목에 걸쳐 이뤄지고 있는 조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 없어 당황해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조사 이유 등을 묻는 주민들에게 “그냥 정부에서 조사하는 것”이라며 무성의한 대답만 늘어놓고 있다. 일부 조사원은 조사과정에서 고압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주민이 반발하자 설문조사 용지를 찢도록 하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지부 등에 충분한 설명이 없는 데 따른 불만과 가구 선정 기준 등이 뭐냐며 따지는 항의전화 등이 잇따르고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의 건강수준과 주요 건강문제, 영양상태 등의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해 올바른 건강증진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실시중인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부실이 우려된다.

한 주민은 “아무런 안내도 없이 조사원이 아이들만 있는 집에 들어와 설문조사를 한 뒤 다음날 다시 찾아와 안내장과 5000원권 농산물상품권을 내밀며 조사를 강요했다”면서 “이에 항의하자 면전에서 설문지를 찢어 달라고 했다”며 복지부 홈페이지에 불만을 털어놨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실시 전 일부 가구에 충분한 안내가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이 있어 설명하고 있다”며 충실한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문준식 기자 mjsik@segye.com

첨부파일

목록 목록

댓글

서울푸드뱅크